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How to be awesome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How to be awesome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45)
    • Java (32)
    • Algorithm (26)
    • JSP & Servlet (0)
    • Spring Framework (14)
    • Git & Github (6)
    • Database (11)
    • Linux (3)
    • Design Pattern (12)
    • JPA (7)
    • Project (14)
    • JavaScript (3)
    • Development (11)
    • HTML&CSS (1)
    • AWS (5)
  • 방명록

스프링 (4)
Spring Cloud Function 프로젝트 AWS Lambda에 배포하기

Spring Cloud Function(Spring Boot) 프로젝트를 AWS Lambda에 배포하는 방법에 대해 기록해보겠습니다. 1. 프로젝트 gradle 설정 샘플 ext { set('springCloudVersion', "2020.0.2") } dependencyManagement { imports { mavenBom "org.springframework.cloud:spring-cloud-dependencies:${springCloudVersion}" }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cloud:spring-cloud-function-adapter-aws' implementation 'com.amazonaws:aws-lambda-j..

AWS 2021. 5. 23. 22:13
스프링 빈은 쓰레드 세이프 하지 않다!

스프링 빈(bean)은 쓰레드 세이프.. 하겠..지?? 빈(bean)은 개발자 입장에서 편리합니다. 스프링이 생성하고 관리하고 조립도 해주고 많은 제어를 많이 해주니까 말이죠. (어제까지만 해도) 저는 스프링 빈(bean)이라면 쓰레드 세이프 할 것이라는 무지에서 비롯된 믿음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스프링 빈(bean)은 근본적으로 쓰레드 세이프 하지 않습니다. 왜 쓰레드 세이프 하다고 오해했을까? 같이 공부하는 (주니어 개발자) 친구들에게 질문해봐도 이 부분에서 같은 오해를 하는 친구들이 많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왜 이런 오해를 하고 있을까요? 첫번째 이유는 많은 요청을 받는 멀티 쓰레드 환경에서 학습해보지 못한 경험상에 이유입니다. 두번째 이유는 (놀랍게도) 쓰레드 세이프하게 빈(bean) 클래스..

Spring Framework 2019. 6. 1. 11:46
인텔리제이(intelliJ)에서 롬복(Lombok) 설치&설정하기

롬복(Lombok)이란?롬복(Lombok)은 Java에서 반복적으로 작성되는 getters/setters나 equals, hashCode, toString 또는 생성자 관련 코드들을 간결하게 만들어주는 라이브러리다. 사실 자바를 지원하는 웬만한 IDE가 이런 코드들의 자동 생성을 지원하고 있어서 필요성을 못 느낄수도 있으나, 롬복(Lombok)은 유지 보수시에 큰 도움이 된다. 유지보수시에 클래스의 필드의 갯수와 비례해서 길어지는 getters/setters가 없으니 코드가독성이 올라가고, 필드값을 추가삭제 할 때도 getters/setters에 대한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 Lombok 플러그인 설치하기 File - Settings - Plugins - Browse repositories . . . ..

Java 2018. 11. 11. 18:12
Bean, IoC(Inverstion of Control)

Bean이란 무엇인가? Bean을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스프링이 생성하고, 관리해주는 객체' 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개발자가 직접 new연산자로 생성한다면 그것은 Bean이 아니다.) 왜 객체를 Bean으로 해야 할까? 스프링같은 프레임워크를 다루어 보지 않은 초보 개발자들에겐 자연스러운 궁금증이 생겨난다. 왜 객체를 스프링이 생성하고 관리해야 하는가? 스프링은 객체를 다루기 위한 보조 기능들을 제공한다. 예를들어 트랜잭션처리, 객체의 라이프사이클 관리, 자동주입 등등... 정확히 어떠한 기능인지는 알 수 없을지 라도 많은 도움을 준다는 것은 알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받기 위해서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주도권을 스프링에게 넘겨주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객체를 Bean으로 생성 하는 것이다..

Spring Framework 2018. 10. 23. 10:05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