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ven 저장소에 라이브러리를 올리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삽질내역을 공유하겠습니다. Java 프로젝트이며 빌드툴은 Gradle을 사용했고, 버전관리 사이트는 Github을 사용했습니다. Step 1. bintray 가입하기 - bintray는 라이브러리(jar파일) 파일들을 업로드 할 수 있는 저장소입니다. - 오픈소스소프트웨어(OSS)로 가입해야 무료로 이용가능합니다. (OSS이기 때문에 public 한 저장소만 사용가능) https://bintray.com/signup/oss (OSS 가입주소) Step 2. bintary에 Repository(저장소) 생성하기 - 삽질포인트 1. (bintray 웹사이트 주의사항~!) (20.09.12 현재) bintray가 페이지 레이아웃을 변경중이라, Ne..

동기(sync) vs 비동기(async), 블로킹 vs 논블로킹 사전적 의미는 일단 치워두고, 대조되는 개념들을 어떤 관점으로 봐야하는지 짧게 설명해보겠습니다. 동기 vs 비동기 : 처리해야 할 작업들을 어떠한 '흐름'으로 처리 할 것인가에 대한 관점 블로킹 vs 논블로킹 : 처리되어야 하는 (하나의) 작업이, 전체적인 작업 '흐름'을 막느냐 안막느냐에 대한 관점 이제 동기 vs 비동기, 블로킹 vs 논블로킹을 예제로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등장인물 개발팀장 : 개발팀 작업의 흐름을 조율하고, 개발팀 사원들에게 업무를 지시한다. 사원1, 사원2, 사원3 : 개발팀장이 지시한 일을 성실하게 수행한다. 시나리오1 (비동기 + 논블로킹) 개발팀장이 사원1에게 업무A를, 사원2에게 업무B를, 사원3에게 업무C를..
이 포스팅은 개인적, 주관적 해석이 듬뿍 들어가있습니다. TDD(Test-Driven-Development)란? TDD 창시자 켄트 백이 TDD라는 용어를 만들기 전에 먼저 고려 했던 키워드는 TFP (Test-First-Programming)입니다. 말 그대로 테스트 코드를 먼저 만들고, 실제 프로덕션 코드를 나중에 만드는 개발 방법을 말합니다. 그래서 TDD와 상반되는 개념으로 테스트 코드를 나중에 작성하는 방식을 TLP(Test-Last-Programming) 혹은 TLD(Test-Last-Development)라고 합니다. TDD없이 개발할 때 종종 겪는 개발 시나리오 프로덕션 코드 A 만들기. 코드A의 테스트 코드 작성하기. (테스트는 당연히 통과된다. 작성된 프로덕션 코드에 끼어맞춰서 테스트 ..